-
바다 낚시 가시는 분들이 꼭 확인 하셔야 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바다 물때표와 바다 날씨 그리고 파도의 높이 등인데요. 서해안의 경우 만조와 간조가 있기에 물때표 확인은 거의 필수 입니다.
도시어부를 보면서 가장 많이 나오는 얘기중 하나가 바로 물이 안간다, 물이 간다, 물때가 어떻다 라는 이야기인 것을 보면 바다 낚시에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물때표는 컴퓨터나 휴대폰으로 간단히 확인을 할 수도 있지만 정기적으로 구독해서 받아볼 수 있는 곳도 있다고 하네요. 본인의 생활 스타일에 맞게 하시면 될 것 같고 사실 저같은 초보는 아무 것도 모르고 가서 선장님이 하라는대로 했었습니다.
서해안, 동해안, 남해안 구분이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전국 바다의 물때를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때표 확인 하는 곳 소개 후 보는 방법은 하단에 있습니다.
물때표 보는 방법
구글에 물때표를 검색해서 바다타임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메인화면이 상당히 복잡해 보이지만 상단에 있는 전국 물때에서 본인이 가려고 하는 곳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전국 물때의 경우에는 큼지막하게 인천, 평택, 보령, 장황등 인근 물때표 확인이 가능하며 서해안중에서도 본인이 가려고 하는 섬이나 포인트의 확인도 가능합니다.
저는 일단 보령 인근 물때표를 클릭했습니다.
보령항 물때표는 날짜별로 만조와 간조시각, 일출과 일몰시각, 월출과 월몰시각 그리고 날씨가 나와 있으며 물때/물흐름이 나와 있는데 이걸 어떻게 봐야 하는지는 아래에 있습니다.
날씨도 좀 더 자세한 정보가 나와 있네요. 풍향, 풍속, 파고가 나와 있고 앞바다, 먼바다 구분되어서 나와 있습니다.
한가지 좋은점이 있다면 과거의 물때표와 바다날씨 확인이 가능하다는 것인데요. 바다라는게 매일매일이 다르지만 대충 그맘때는 이정도 온도에 이정도 날씨 그리고 이정도의 물때를 가지는 것을 대략적이나마 확인을 하고 내가 언제 출조를 나갈지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낚시를 오래하신분들이라면 경험으로 이미 체득하고 계시겟죠.
지역날씨 부분에는 3시간 단위로 나누어서 기온과 풍향, 풍속, 파고 ,파향, 파주기, 강수확률, 강수량, 습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래 이런 정보들을 보려면 기상청을 비롯한 다양한 홈페이지에 가서 봐야 하는데 한곳에 모아 놓아서 확실히 보기 편하긴 하네요.
마지막으로 보령항에서 가장 가까운 수온 관측 지역을 알려주면서 현재 수온이 얼마이며 오늘 하루 수온의 변화가 어떤식으로 흘러 가는지를 볼 수 있는데요.
낚시를 자주 다니지 않는 저로서는 최저 13도, 최고15도 정도라면 그렇게 큰 차이가 있나 싶긴 합니다만 온도에 따라서도 물고기들의 활동성이 달라지니 체크해야 하는 부분중에 하나인 것 같습니다.
해당 사진은 메인화면에서 아래로 내렸을 때 볼 수 있는데요. 전국물때표처럼 인천, 보령 등으로 큼지막한 지역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낚시를 할만한 항구, 지역, 섬들은 거의 다 있다고 봐도 될 것 같네요.
한가지 눈에 띄는건 전국 바다갈라짐이라고 해서 지난번에 다녀온 소매물도의 바다갈라짐 시간도 알 수 있다는 점 이였습니다. 그때는 블로그들 검색하고 현지에 가서 확인하고 했었는데 미리 알았더라면 계획을 조금 더 잘 짤 수 있었을 것 같네요.
마지막으로 바다타임 메인화면 상단 탭을 보면 물때표 보는법이라고 있습니다. 단순히 글로 설명하기에는 어렵기에 몇가지 영상들이 있는데요. 영상은 3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영상에는 별로 점수가 매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영상 보는 게 귀찮을 분들을 위해서 아래에 있는 물때표 보는법 표를 가져 왔습니다.
물때표를 보는 법 중에 하나는 만조, 간조인데 물이 가장 많이 차 올랐을때가 만조이며 +숫자는 간조 이후에 차오른 해수면의 높이 차이를 얘기합니다. 그러면 간조때는 -숫자는 만조에서 빠진 해수면 높이의 차이를 얘기합니다.
괄호안의 숫자는 물의 높이를 말하며 단위는 cm입니다.
물때표를 보면서 무시라고 적혀있길래 처음에는 무시하라는 이야기인가? 라고 생각했는데 조금 다음날 조금물때와 비슷한 수위와 조류속도의 약한시기(예비조금)이라고 하네요.
그 외에도 본류, 반류, 와류 ,간류, 격조, 사리, 조금 등의 용어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흔히 7물, 8물이라는 얘기를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겁니다. 저도 도시어부 애청자로서 주워들은 이야기들이 많은데 영상을 보지 않고 이렇게만 봐서는 이해하기가 조금 힘든 것 같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