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튜브 다크모드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유튜브의 기본 화면이 흰색이다 보니까 오래 보다보면 눈이 아픈 경우도 많고 특히나 밤에는 밝기를 최저로 낮춰도 흰색이다 보니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있는데요.
그러한 흰색화면을 검은색에 가깝에 만들어 주는 것이 바로 다크모드 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휴대폰으로 책을 읽는다던가 장시간 어떤 것을 봐야하는 경우에 검은색에 가까운 화면을 쓰는 경우가 많은데요. 텍스트 뷰어를 사용할 때도 저는 되도록이면 검은색 배경에 회색 글씨를 이용하고는 합니다.
유튜브 또한 처음에는 다크모드가 조금 어색해 보일 수 있으나 검은색이 주는 매력과 눈의 편안함을 느껴보면 흰색으로는 다시 못돌아옵니다.
유튜브 다크모드는 pc와 모바일을 설정하는 방식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pc, 모바일 순으로 가고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은 차이가 없기에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유튜브 다크모드 pc 설정 방법
먼저 우상단의 내 프로필 사진을 눌러서 어두운 테마 부분을 클릭합니다.
어두운 테마가 현재 off 상태이니 버튼을 클릭해서 on으로 변경시켜 줍니다.
어두워 지신게 보이나요? 이렇게 작은화면 으로 보면 감이 안올 수도 있으니 큰 화면으로 한번 더 보겠습니다.
해당 사진은 제가 평소 즐겨보고 있는 슈퍼마리오 메이커2를 방송하는 분의 영상을 잠시 캡쳐해서 가져와봤습니다. 영상 주변이 검은색이라서 그런지 영상에 좀 더 몰입되는 부분도 있고 확실히 흰색에 비해서 눈이 좀 더 편안하다고 느껴집니다.
외국이름은 다크모드, 우리나라 이름으로는 어두운테마 인데 검은색이라기 보단 쥐색 혹은 먹색에 가까워 어두운 테마라는 단어가 훨씬 더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드네요.
유튜브 다크모드 모바일 설정 방법 + 아이폰
앞서 얘기했던 것 처럼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의 차이는 없습니다. 그리고 항상 이런 글을 작성할 때 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아이폰을 따로 해야 하는 이런 번거로움이 있다는 것 자체가 ios가 얼마나 별로인지 알 수 있는 점 이지 않나 생각을 합니다.
반대로 ios 쓰는사람들은 aos를 욕할 수 있지만 찾기 쉽고 간편한 aos에 반해 ios는 확실히 불편하고 유저 친화적이지 않다는 생각이 드네요.
모바일버전은 프로필 사진을 누른 뒤 설정을 눌러서 일반을 클릭해 들어갑니다.
어두운 테마 부분을 off 에서 on으로 바꾸면 pc와 같은 약간 먹색에 가까운 화면으로 변경이 되는데요.
흰색 배경에 검은색 글씨에서 어두운 배경에 회색빛이 도는 흰색 글씨로 바뀌면서 확실히 눈이 편안해 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저도 흰색을 사용하다가 검은색으로 바뀌는 것이 조금 어색했습니다만 사용하다 보니 오히려 흰색이 더 어색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고 요즘 하루에 유튜브를 최소 1시간 이상은 보는 시대가 왔고 그 어떠한 앱 보다 유튜브의 사용량이 가장 많은 이 시점에 눈 건강을 위해서도 어두운 테마를 사용하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흰색보다 어두운색이 더 멋있다고 어두운 테마를 사용하는 분들도 많고 유튜브 다크모드를 잘 모르다 보니 주변 사람들에게 이런 것이 있다고 알려주기 위해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종종 봤습니다.
pc는 상대적으로 설정이 바로 보여서 변경하기가 쉬웠으나 모바일은 설정에서 일반으로 한번 더 들어가야 하는 저 과정 때문에 거의 미로를 헤매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그렇기에 이런 설명이 필요하게 되네요. 설정에도 검색이 있다면 편할 것 같은데 말이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