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국가 암 검진 질 향상 교육
    잡학다식


    매년 혹은 2년마다 건강검진을 하라고 검진표가 집으로 날아오고는 하는데 나이대에 따라서 암검진 또한 대상자에 해당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건강검진의 경우 1월에서 12월중에 받으면 된다고 하지만 10월, 11월 ,12월에 수검자의 38%이상이 몰린다고 하니 이때 가면 검진기관들에서 바쁠 수 밖에 없고 저도 오래기다려야 겠네요.


    이미 지금 작성하고 있는 시기가 10월이니 늦었기는 합니다만 늦게라도 꼭 대상자를 확인하고 검사를 받으면 좋겠네요.




    국가 암 검진은 모든 국민이 해당되는 것은 아니며 성별에 관계 없이 검진마다 나이대가 따로 정해져 있습니다. 물론 집으로 날아온 우편을 보면 확인할 수 있지만 만일 잃어버린 경우라거나 확인이 힘든 경우를 생각하여 대상자 확인 부터 검진기관 확인 그리고 검사 결과까지 과정을 살펴볼까 합니다.


    저도 나이가 들어가니 간단한 검사를 받으라고 날아오긴 하던데 올해는 이리저리 바빠서 안받고 아마 그냥 넘어가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국가 암 검진 대상자 확인



    보통은 주민등록 주소지로 우편이 발송이 되기에 검진표를 가지고 있게 되지만 분실하거나 수령하지 못한 경우에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577-1000번이나 가까운 지사에 신청하여 확인서를 발급하거나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공인인증서 로그인 이후에 검진대상자 확인서를 직접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검진기관을 확인하고 사전 예약한 뒤에 암검진표와 신분증을 가지고 검진기관을 방문하여 암검진을 실시합니다.


    2019년 암검진 안내문 다운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cancer_2019.pdf


    위암의 경우 만 40세 이상 남녀는 증상이 없어도 2년마다 위내시경 검사를 받습니다. 위내시경 검사가 어려운 경우에는 위장조영검사를 선택가능하며 내시경 검사이후 유소견이 나온 경우에는 조직검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대장암은 만 50세 이상 남녀가 1년마다 분변잠혈검사(FOBT)를 받은 후 양성판정자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습니다. 대장내시경이 어려운 경우에는 대장이중조영검사를 선택 가능 합니다.





    간암의 경우 만 40세 이상 남녀가 간암발생 고위험군에 해당되는 대상자가 상반기 1회, 하반기1회로 6개월마다 간 초음파검사와 혈액검사를 받는데요.


    고위험군 기준은 해당년도 이전 2개년도 보험급여 내역 중 간암 발생 고위험군이거나 과거년도 일반건강검진 결과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양성자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양성자 입니다.



    유방암은 만40세 이상 여성이 2년마다, 자궁경부암의 경우에는 만 20세 이상 여성이 2년마다 검사를 받습니다.



    마지막으로 폐암의 경우 만 54세 ~ 74세 이상 남녀 중 폐암발생 고위험군에 해당되는 대상자가 2년마다 저선량 흉부CT검사와 사후 결과상담을 받는데 고위험군 기준은 해당연도 전 2년 내 국가건강검진과 금연치료지원사업의 문진표 자료 중 30갑년 이상 흡연경력의 현재 흡연자입니다.


    갑년이란 1일 흡연량(갑) x 흡연기간(년) 인데 만일 하루에 3갑씩 10년을 피웠다면 30갑년이 됩니다.



    검사를 받았다면 검진기관에서 15일 이내에 검진 받은 사람의 주소지로 검진결과를 발송해 줍니다.


    비용부담은 공단이 90%,수검자가 10%를 부담하는데 대장암과 자궁경부암은 전액 공단이 부담을합니다. 상단에 안내문을 다운로드 받으면 10% 본인 부담 비용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 있으며 보통 1만원 이내의 본인 비용 부담이 있습니다.


    단 국가암검진사업 대상자, 의료급여수급권자는 수검자 부담이 없습니다. 2019년 암검진 대상자중에서 건강보험료 부과금객이 건강보험료 하위 50% 해당하는자, 직장가입자는 9.3만원, 지역가입자는 9.4만원이 국가 암검진 대상자 선정기준 입니다.


    검진기간은 매년 1.1~12.31이며 검진기간 연장은 없습니다. 다만 전년도 미수검자가 공단에 요청할 경우에 금년도 검진대상으로 추가등록은 가능하나 비용부담이 달라질 수 있기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