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주차단속 알림서비스 신청 방법
    잡학다식

    주차단속 알림서비스라는 단어를 처음듣고 생각했던건 불법 주정차단속에 걸리면 고지서 날아오는 것 보다 훨씬 더 빠르게 과태료 사실을 알려주는 서비스인가? 라고 생각했었는데 정반대의 서비스였습니다.


    주차단속 구간에 차를 주정차할 경우에 과태료를 날리기전에 차주에게 문자를 한통 넣어 주는 겁니다. '거기 계속 차 대고 있으면 과태료 날아가니 얼른 차를 옮기는게 좋을 것 같아요'라고 말이죠. 그러면 차주는 그곳이 불법주정차 단속 구간인지 알았건 몰랐건 얼른 차를 다른 곳으로 옮기게 되겠죠.


    그렇게 과태료 처분보다는 차주의 자발적인 행동을 하게끔 하는 서비스인데 실제로는 과태료 안받기 위해 신청하는 서비스죠.




    주차단속 알림서비스는 CCTV단속지역(수기단속 및 즉시단속지역 제외)에 잠깐 주정차하는 차량들에 대하여 단속지역임을 휴대폰 문자로 알려주는 서비스인데요. 실시간으로 안내해서 운전자의 차량이 반복적으로 불법주정차 단속 대상이 되는 사례를 방지하고 차량의 자진이동을 유도하여 원활한 차량 소통로를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무조건 과태료처분을 내리겠다는 것이 아니라 몰랐을 수도 있으니 1번의 기회를 주겠다 이런 것이죠. 하지만 서비스에서 아쉬운 부분들이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주차단속 알림서비스 과정



    내가 차를 불법주정차 단속구역에 세우면 CCTV로 확인한 뒤에 내 차량번호를 조회해서 주차단속 알림서비스에 가입이 되어 있으면 안내메세지를 발송하는 형식입니다.


    만약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문자는 날아오지 않고 과태료 고지서가 나중에 날아오겠네요. 저도 뜬금없이 정말 1도 몰랐는데 불법주정차로 과태료 내라고 날아오면 억울한 적이 한두번이 아닙니다. 가장 많이 드는 생각은 '거기 차가 그렇게 많았는데 나만 날아온건가?' 이거죠.


    주차단속 알림서비스 신청 방법


    주정차단속알림 시스템으로 들어갑니다. 많은분들이 헷갈려 하는 것이 있는데 주정차지킴이 통합서비스에서는 제대로된 정보를 얻거나 가입이 불가하고 가입여부 확인만 가능합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또는 주정차문화지킴이 어플을 다운받아서 가입이 가능하며 가입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지자체의 단속 카메라가 내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여 한국교통안전공단 주정차문화지킴이 DB에서 차량의 번호로 휴대폰번호를 조회하여 문자 혹은 어플알림을 날려주는 방식입니다.



    상단탭에서 서비스 신청하기-지역별 온라인신청 으로 들어갑니다.



    서울특별시는 강동구, 광진구, 구로구, 금천구, 노원구, 도봉구, 동대문구, 동작구, 동작구, 마포구, 서초구, 성동구, 양천구, 영등포구, 은평구, 중구 총 15지역 입니다.



    경기도는 덕양구, 일산동구, 일산서구,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김포시, 부천시, 성남시, 성남 분당구, 성남 중원구, 성남 수정구, 안산 단원구, 안산 상록구, 안양 동안구, 안양 만안구, 여주시,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 화성시 총 24지역 입니다.



    강원도는 강릉시, 동해시, 원주시, 철원군, 춘천시 총 5지역 입니다.



    부산은 강서구, 진구, 사상구, 사하구 총 4지역 입니다.



    인천은 동구, 미추홀구, 남동구, 연수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총 8지역 입니다.



    울산은 중구, 울주군, 남구 총 3지역 입니다.




    대구는 중구,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 총 8지역입니다.


    제가 맨앞에 서비스가 별로인 점이 많다고 했는데 그점을 대구에서는 완벽하게 해결했습니다. 8지역 중에서 한군데만 신청하여도 대구광역시 전지역에서 서비스가 됩니다. 전국까지는 바라지도 않지만 적어도 같은 시나 도라면 한번의 가입으로 해당 지역을 다 커버할 수 있어야 하는거 아닐까요?


    대구 기준에 서구 따로 달서구 따로 수성구 따로 가입해야 한다면 도대체 왜 그래야 하는지 당최 이해를 할 수 없습니다. 모든 지역이 대구를 본받았으면 하네요.



    광주는 광산구, 남구, 동구, 북구, 서구 총 5지역 입니다.



    전라북도는 군산시, 남원시, 부안군, 완주군, 익산시, 전주시, 전주시 덕진구, 전주시 완산구 총 8지역 입니다.



    전라남도는 광양시, 순천시, 영광군 총 3지역 입니다.



    경상남도는 경남 고성군, 김해시, 창녕군, 창원시, 의창구, 성산구,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진해구, 통영시, 합천군 총 11지역 입니다.



    경상북도는 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영천시, 예천군 총 5지역 입니다.



    충청남도는 공주시, 당진시, 보령시, 부여군, 서산시, 천안 동남구, 천안 서북구 총 7지역 입니다.


    제주도는 제주시 1지역인데 서귀포시와 제주시로 나뉜 제주도가 딱 절반의 제주시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의아하네요.


    그리고 주차단속 알림서비스는 사실 내가 자주 다니지 않는 곳에 가면 더욱 더 필요한 서비스라고 생각이 드는데 구마다 신청을 따로해야 하는 것은 너무 비합리적인 것 같네요. 서비스 시행이 된지 얼마 되지 않아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점차 개선되어 나갈거라 생각이 듭니다.


    개인적으로는 한번 가입에 전국을 커버할 수 있으면 가장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