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하이패스 사용내역, 미납요금 조회 및 납부 방법
    잡학다식

    제가 하이패스를 처음 봤을때는 차량에 하이패스를 달고 있으면 다들 신기하게 쳐다보던때였는데 지금은 오히려 없는 차량을 보면 '하이패스 안달았어?'라고 물어볼만큼 대중화가 되었고 모든 사람이 차량을 구매하면서 이제는 룸미러에 삽입하는 형식으로 다들 장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사를 보면 가끔 하이패스가 돈을 더 빼간다라는 이야기가 많은데요. 그렇다보니 사용내역을 확인하고 돈이 제대로 빠져나갔나 확인을 해봐야하고 내가 어디를 얼마나 다녔는지도 확인이 됩니다.


    그리고 가끔 하이패스가 제대로 찍히지 않아서 미납요금이 발생하는데 이게 연체가 되면 또 추가적으로 돈을 내야 합니다. 내가 일부러 그런것도 아닌데 괜히 기계 달아놓고 돈 더내면 억울하겠죠.




    그렇기에 미납요금이 생긴다면 바로바로 결제되게 하는 것도 있으며 해당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미납요금 조회를 빠르게 해서 바로 결제를 해버려야 합니다.


    혹시 하이패스 달고 있으면서도 가끔 티켓 뽑는분 계신가요? 요즘 차에도 나오는지 모르겠으나 운전자 위에 티켓꼽는 공간도 있었는데 티켓을 촥 뽑아서 입에 살짝 물고 창문을 올린뒤에 거기에 착 꽂는 맛이 있었습니다. 고속도로에서 티켓이 주는 특별한 감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사용내역 조회와 미납요금 조회 및 납부는 한 곳에서 할 수 있습니다.


    하이패스 사용내역 조회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화면을 아래로 살짝 내려보면 하이패스 사용내역에 사용내역 조회, 하이패스 카드관리, 주차장 이용내역이 있는데 해당 부분을 클릭합니다.


    아래에 바로 미납통행료 조회 및 납부, 미납통행료 납부내역, 미납통행료 자동납부 내역도 보이네요.



    통행료 사용내역 조회는 등록한 카드를 선택하고 조회기간을 고른뒤에 사용일 기준으로 할 것인지 청구일 기준으로 할 것인지 선택하고 출력건수는 100건으로 하면 될 것이고 그 외에 부분들을 선택한 뒤에 조회를 합니다.


    사용내역을 조회하는 목적은 대부분 내가 어디에 갔는가, 돈이 제대로 나가고 있는가 일테니 사용일 기준으로 조회를 하는 것이 더 괜찮다고 생각이 드네요.


    하이패스 미납요금 조회 및 납부



    홈페이지에서 봤던 미납요금으로 들어오게되면 미납통행료가 몇건인지, 얼마가 미납되었는지가 나오고 납부 방법을 선택하여 바로 결제를 할 수 있는데요.


    건별 미납통행료 현황에서 결제할 건을 체크한 뒤에 납부 버튼을 눌러 결제를 진행하면 됩니다. 카드가 등록되어 있다면 거기서 바로 빠져나갈테니 조금 더 간편하게 할 수 있겠네요.


    처음에 적었던게 바로 미납통행료가 생기면 자동으로 결제가 되는 시스템이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미납통행료 자동납부신청 현황이라고 있고 옆에 신청버튼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이 되는데요. 하이패스가 돈을 더 빼간다는 얘기가 있는데 결제된 금액도 미납요금으로 체크가 되어 돈이 2번빠져나가지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하구요.


    또한 미납통행료가 그리 자주 생기는 일은 아닐테니 생긴 김에 한번씩 들어와서 사용내역도 조회해보고 또 어떤게 바뀐건 없는가 둘러보는 것도 괜찮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