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보험료는 국민건강보험에서 만든 건강보험을 위해서 내는 돈 입니다. 건강보험은 진료비가 너무 많이 들 경우에 가계에 부담이 될 수 있기에 미리 보험료를 매달 지불해서 모든 사람에게 병원을 가는 부담감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
우리가 평소에 감기 같은 걸로 병원을 쉽게 갈 수 있는 것도 다 건강보험덕분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국민건강보험은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적용대상이 구분되는데 내가 10대때 돈을 벌지 않고 보험료를 내지 않더라도 혜택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배우자, 직계존속, 직계비속 등도 혜택을 받기 때문입니다.
혹시 학교에서 건강보험료 확인을 아직도 하나요? 제가 학교 다닐때에만해도 학교에 내는 돈이나 급식비나 우유값 등을 건강보험료가 일정 금액 이하인 친구들에게 지원해줬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는 집에 날아왔던 고지서를 가지고 갔던 것 같기도 하고 어디 가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를 떼러 갔던 것 같기도 하고 가물가물합니다.
요즘에는 어지간한 서류는 다 집에서 인터넷으로 발급이 가능한데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역시 집에서 인터넷 발급이 가능합니다. 단 납부확인서를 발급 받기 위해서 필요한 본인인증이 휴대폰으로 되면 좋겠지만 공인인증서로만 본인인증을 할 수 있어서 요즘에는 잘 쓸 일이 없는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합니다.
저만해도 예전에는 매년마다 갱신을 했었는데 안한지도 벌써 3년이 다되어 가는거 같네요. 공인인증서 말고 휴대폰처럼 언제든지 나를 인증할 수 있는 방법이 하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나마 다행인게 요즘은 지문으로 되는게 꽤 있는 것 같습니다.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인터넷 발급을 위해서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보험료 조회나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발급을 위한 2가지 방법이 있는데 2개 다 설명을 해볼까 합니다. 첫번째는 상단에 있는 민원신청 탭에서 개인민원으로 들어갑니다.
개인민원에서 살펴보시면 보험료 납부확인서라는 탭을 확인할 수 있고 여길 클릭합니다.
두번째 방법은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메인화면에서 살짝만 내리면 자주찾는 메뉴에 납부확인서로 바로갈 수 있는게 있습니다.
보안프로그램을 설치라하는 창이 뜨고 보안프로그램 설치 없이는 인증화면까지 올 수가 없습니다. 저는 보안프로그램을 필요할때만 설치하고 바로바로 삭제하는 스타일이라서 이런 부분들이 언젠가 해결이 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인증 이후에 발급용도와 언어 그리고 발급받고자 하는 기간과 보험종류를 선택해서 조회를 한 후에 인터넷으로 뽑을 수 있습니다. 발급에 별다른 비용이 들어가지는 않으나 뽑아놓은 자료를 또 쓸 일이 있을 것 같다면 스캔해서 저장해 두는 것도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건강보험료를 많이 내는 사람이 잘 산다는 인식이 있는데 아무래도 가진 재산에 따라서 보험료를 더 많이 납부하다보니 그런 인식이 생긴 것 같네요. 실제로 그렇기도 합니다만 절대적인 것이라고 보기에는 또 좀 힘들겠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