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다보면 의도했건 의도하지 않았건 내가 상대방에서 전화차단을 당할 일이 생길때도 있습니다. 수신차단을 당했을때 상대방에게는 내가 전화하면 어떻게 나오냐면 전화 왔다는 표시가 일절 뜨지 않고 통화목록에 들어갔을때 살펴보다보면 차단된 전화가 왔다고 뜨거나 아니면 스팸 전화 기록에만 나오거나 아예 안나오거나 3가지 중에 하나입니다.
이건 내가 차단한 사람이 전화가 왔는지 안왔는지에 대해서 확인하는 방법이고 내가 차단을 당했는지 안당했는지에 대해서 썰을풀까합니다.
당연하게도 정확하게 딱 알아내는 방법은 없습니다만 약간의 꼼수를 이용해서 알아낼 수 있습니다.
가령 배터리를 빼놓으면 통화 신호는 가지만 보통 1분간 신호가 가는 것에 비해서 30초밖에 가지 않으면 아 배터리가 빠져있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 처럼요.
이것 말고도 갖가지 꼼수들이 있는데 카카오톡 1 없애지 않고 카톡 읽기라던가 상대방에게 카톡 차단당했는지 알아보기, 페이스북 차단당했는지 알아보기 등등이 있습니다.
아무리 전화를 해도 나랑 통화가 안되는 사람은 나를 차단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상대방이 나를 차단했다면 통화 대기음이 1도 들리지 않고 바로 고객님의 사정으로~ 멘트로 넘어가게 됩니다.
보통은 통화 대기음이 한번 짧게 울리고 난 뒤에 넘어간다면 차단을 당했다면 바로 넘어가버립니다.
차단도 스팸에 넣은거랑은 또 차이가 있는데요. 통화연결음이 정상적으로 가지만 상대방에게 전화왔다고는 뜨지 않는 수신차단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이제는 점점 섞이고 있습니다.
배터리를 빼두면 30초간 울린다고 적었었는데요. 그럼 배터리를 꽂은채로 0%가 되어 꺼졌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럼 뭐 바로 전원이 꺼져있어~ 로 시작되는 멘트가 나오게 되죠.
참 희한한게 배터리가 0% 일때와 배터리를 빼둔 상태가 같은 상태라고 생각을 했는데 전혀 다른 결과물을 가져 오네요.
고객이 전화를 받을 수 없어 라는 멘트가 나온다면 차단은 아니고 거절을 했거나,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해당멘트가 나오게 됩니다.
즉 상황별로 나오는 멘트가 다르긴하나 같은 멘트가 다른 상황에 나오는 경우도 있어 무조건 이 멘트는 이런 상황이다 라고 설명할 수는 없지만 대충 그 사람의 상황을 알고 있다면 아 이렇지 않을까? 라고 추측은 할 수 있는 것이죠.
폴더폰, 스마트폰이 다른데 폴더폰은 수신자의 요구로 수신이 제한되었습니다 혹은 연결할 수 없습니다 혹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라고 나옵니다. 스마트폰은 뚜 하자마자 지금은 전화를 받지 않습니다 혹은 연결이 되지 않아 삐 소리후~ 의 멘트가 나옵니다.
즉 같은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다른멘트가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전에는 한정적이였는데 이제는 멘트도 다양해지고 상황도 다양해졌습니다.
아마 추측을 할 수 있게 만들어 놓으니 내가 상대방을 차단했을 때 상대방이 바로 알아차려 버리니 이제는 섞는게 아닌가 싶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