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모바일 유튜브 동영상 멈춤, 렉, 버퍼링, 끊김 결국엔 해결
    잡학다식

    예전에는 유튜브를 컴퓨터로만 보거나 pc로 더 많이 봤다면 요즘에는 pc나 컴퓨터 보다는 확실히 모바일로 더 많이 보는 것 같습니다. 그게 스마트폰이 되었건 태블릿이 되었건 말이죠.


    pc로 보다가 유튜브동영상 멈추는 것도 너무 짜증나는 일인데 모바일로 볼때는 더 짜증납니다. pc야 뭘 다른거라도 잠깐 할 수 있거나 그냥 포기하고 방법을 찾아 보거나 하면 되는데 모바일은 온전히 유튜브에 집중하고 있는 찰나에 끊기다 보니 더욱 짜증이 나죠.


    접속하는 기기나 환경등 여러가지 요인이 다를진데 한가지 해결책만으로 해결을 할 수 있다고 거짓말은 하지 않습니다. 여러 방법들을 다 시도해보고 그 중에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해서 해결하시기 바랍ㄴ디ㅏ.




    결론부터 말하면 기기가 오래되고 인터넷이 느려서 그렇습니다. 이것 말고 다른 이유를 찾자면 다른게 너무 켜진게 많아서 유튜브가 도저히 제 능력을 발휘할 여건이 안된다고 쉽게 설명해 드릴 수 있겠네요. 램이 모자라다는 얘기죠.


    잡다한 프로그램이 너무 많이 켜져 있고 램이 모자라고 cpu가 터지기 직전까지 돌아가고 있다면 당연하게도 유튜브는 끊길 수 밖에 없습니다. 또는 인터넷 속도는 한계가 있는데 뭔가를 다운받고 있어서 거기에 인터넷이 집중하고 있다면 영상이 끊길 수도 있겠네요.


    결국 결론은 기기를 업그레이드 시키고 인터넷을 빠르게 해라인데 이럴꺼면 찾아보지도 않겠죠. 가진 것 내에서 최고의 효율을 뽑아내는 방법들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pc에서 설정할 수 있는 부분들은 모두 알려드릴까 합니다. 집에서 wifi를 쓰고 계신 경우라면 이 부분을 넘어가지 말고, 온전히 밖에서 데이터나 바깥의 와이파이를 사용하신다면 이부분은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설명은 윈7 기준입니다만 윈8이나 윈10도 동일합니다. 모양새만 조금 다를 뿐이지 똑같은 곳으로 들어가서 같은 설정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다만 제어판-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의 이름이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사진을 보고 어디로 들어가야 하는지는 대충 느낌이 오실겁니다.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로 들어 온 다음에 좌측에 어댑터 설정 변경으로 들어갑니다.



    현재 저는 와이파이를 잡고 있는 상태여서 Homefi라고 떠있지만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유선 혹은 무선 인터넷이 이름에 따라서 이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본인의 pc가 연결되어 있는 유선 네트워크 혹은 무선 네크워크 연결을 우클릭하고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v4)를 누르고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아래에 있는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을 클릭한 뒤에 기보 ㄴ설정 DNS 서버는 8.8.8.8로 변경하고 보조 DNS 서버는 4.4.4.4로 변경한 뒤에 확인버튼을 눌러줍니다.


    이 방법은 요즘 https우회를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구글 서버를 이용해서 조금 더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낸다고 하는데 필요에 따라서 설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해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이제 부터는 모바일과 pc 둘다 적용이 되는 부분입니다.



    요즘 보통 크롬 혹은 네이버 아니면 사파리를 사용하고 있을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저는 크롬을 사용하고 있고 혹시나 사용중인 브라우저가 크롬이 아니라면 크롬으로 바꾸는 것만으로도 상황이 나아질 수도 있습니다.


    크롬을 사용중인데도 느려신다면 일단 설정으로 들어가줍니다.



    좌측에 메뉴버튼 같은 설정을 켠 다음 고급으로 들어가 시스템을 눌러줍니다.



    가능한 경우 하드웨어 가속 시행이라는 부분을 on으로 바꿔주신다면 유튜브 동영상 멈춤이나 렉, 버퍼링과 같은 일은 현저하게 줄어들거나 없어집니다.


    이렇게 해도 유튜브 동영상 끊김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가장 확실하면서도 가장 하기 싫은 방법이라 맨 뒤로 미뤄놓았던 방법을 사용합니다.



    바로 동영상의 품질을 낮추는 방법입니다. 보통은 자동으로 되어 있고 720p 혹은 1080p로 되어 있을텐데 이것을 450p나 360p로 낮춰준다면 pc에서는 조금 저화질일지도 모르겠으나 모바일에서는 화면이 작기 때문에 영상을 충분히 보고도 괜찮을 정도의 화질 입니다.


    왜 가장 확실한 방법을 가장 뒤로 미뤘냐면 화질을 낮추면서 까지 보고 싶지 않고 고화질인 상태에서 보고 싶기 때문입니다.


    모바일 유튜브 동영상 멈춤, 렉, 버퍼링, 끊김이 해결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앞서 적었던 것 처럼 기기가 오래되거나 인터넷이 느려서 그렇습니다. 브라우저를 바꾸고 화질을 낮춰서 잠시 해결할 수는 있겠으나 언젠가 또 다른 곳에서 문제가 터질 수도 있습니다. 요즘 점점 영상의 용량과 화질이 올라가고 인터넷은 곧 5g세대로 들어선다는데 따라가기가 벅차질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