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x는 cpu 오버 클럭 후에 안정화 확인을 위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시스템의 성능 확인을 위해서도 사용하기도 하는 프로그램중에 하나입니다.
인텔 린팩(linpack_ + GUI를 의미하는 lin는 인텔 린팩 벤치마크를 이용해 성능과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된게 바로 링스(linx) 입니다.
LinX라는 이름을 가진 프로그램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이 이제 0.9.x 버전 단위로 나가고 있는 것과 legacy, amd edition 그리고 버전단위에 필요한 인텔 mkl입니다.
다운로드 하기 전에 확인해야 할 점은 플랫폼에 맞는 걸 다운받아야 하고 legacy나 AMD Edition은 MKL의 추가 설치가 필요 없지만 버전이 표기된 일반 linx의 경우에는 mkl다운로드 또한 하단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1.플랫폼에 맞는 Linx를 다운로드 후 압축을 해제한다.
2.버전이 표기된 일반 버전은 Intel Math Kernel Library(MKL)의 설치가 필요하다. 단, legacy나 amd edition은 mkl의 추가 설치가 필요없다.
해당 사진이 바로 버전명이 적힌 일반 버전을 실행시킨 사진입니다. 우선 settings을 눌러서 들어갑니다.
대부분은 자동으로 세팅이 맞게끔 되어 있겠지만 혹시나 다르다면 비트를 바꿔 주시고, bit를 모르겠다면 32로 선택하셔도 문제는 없지만 64의 경우에 64로 해야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확인 방법은 내 컴퓨터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시고 속성에서 시스템 종류 옆에 보면 됩니다.
Number of threads는 cpu의 쓰레드 숫자에 맞게 바꿔주시면 됩니다.
테스트할 때 램에 얼마만큼의 부하를 줄 것이냐를 결정하는 부분이니다. 사용하는 램의 용량이 클 수록 부하또한 커지고 좀 더 결과물에 대한 믿음이 생기게 되겠죠.
오버클럭을 얼마나 했을 때 얼마만큼의 성능과 안정성을 보여주느냐를 보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이죠.
보통 Physical memory available 값보다 1~200 정도 적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테스트를 몇번이나 돌릴 지 결정하는 부분입니다. 보통 20회를 많이들 사용하시나 몇회를 할 지는 본인의 선택이지만 시간과 컴퓨터가 충분하다면 원하는 만큼 하면 될 듯 합니다.
모든 설정이 완료 되었다면 이제 start 버튼을 눌러서 시작하면 됩니다. 테스트중에는 cpu 사용률이 100%가 나오고 한회 한회 사이마다 사용률이 떨어지는 것은 정상입니다.
테스트 중에는 당연히 다른 작업을 안하는 것이 좀 더 믿음직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겠죠.
사용시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 것을 꼭 명심하고 프로그램을 돌려야 할 것 같네요. 참고로 국내에 한 개발자분이 linx를 한국어 패치를 해서 배포를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걸 사용하시던지 역시나 본인의 선택이겠죠.
Intel Math Kernel Library(MKL)의 다운로드는 인텔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을 받을 수 있습니다만, 저렇게 검색하기는 너무 힘드니 링크타고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들어가자 마자 메인화면에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는 버튼이 주황색으로 있고 다운로드 받은 후에 압축을 풀고,
benchmarks_2018\windows\mkl\benchmarks\linpack 폴더의 linpack_xeon64.exe 와benchmarks_2018\windows\redist\intel64_win\compiler 폴더의 libiomp5md.dll 를 LinX의 MKL 폴더로 옮겨 줍니다.
댓글